배드민턴 경기 21점 랠리부터 듀스까지 규칙 한 번에 끝내기

배드민턴, 시작이 반! 초보자를 위한 핵심 규칙 완벽 정리! 서브부터 득점, 주요 반칙까지, 이 글 하나로 경기의 재미를 두 배로 느껴보세요. 😊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배드민턴 코치, 알쓸입니다. 😊 다들 배드민턴 좋아하시죠? 가볍게 즐기기 시작했는데, 막상 경기를 하려니 규칙이 헷갈리셨던 경험, 다들 있으실 거예요. 특히 득점은 어떻게 하는 건지, 서브는 어디서 넣어야 하는지 헷갈려서 우물쭈물했던 기억, 저도 진짜 많았어요. 걱정 마세요! 오늘 이 글을 읽고 나면 초보자 여러분도 베테랑처럼 경기를 즐길 수 있을 거예요. 핵심만 쏙쏙 뽑아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릴게요!

경기 시작의 첫걸음! 셔틀콕의 운명을 결정하는 ‘토스’와 ‘서브권’ 🏸

배드민턴 경기는 보통 동전 던지기나 셔틀콕을 던져서 누가 먼저 시작할지 결정해요. 이게 바로 ‘토스’인데요. 토스에서 이긴 팀이나 선수는 다음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어요.

  • ✅ 먼저 서브를 할지, 서브를 받을지 선택
  • ✅ 코트의 한쪽을 선택 (예를 들어, 해가 비치는 방향을 피하기 위해)

토스에서 이긴 선수가 서브권을 가져가면, 상대방은 코트 진영을 선택하게 되고요, 만약 코트 진영을 먼저 선택하면 상대방이 서브권을 가져가게 되는 식이에요. 간단하죠?

득점 방식, 이것만 알면 승리 보인다! 랠리 포인트제와 21점 룰 🥇

배드민턴의 득점 방식은 정말 쉬워요. 바로 ‘랠리 포인트제’인데요. 서브권을 가진 팀이든, 받던 팀이든 랠리(셔틀콕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이기면 무조건 1점을 얻게 됩니다. 상대방이 서브를 했는데 우리가 랠리에서 이겼다면? 우리가 1점을 얻고 다음 서브권도 가져오게 되는 거죠! 솔직히 득점 방식은 이게 전부예요.

  • ✔ 경기 스코어: 21점을 먼저 얻는 팀이 한 게임을 이겨요. 3게임 중 2게임을 이기면 최종 승리합니다.
  • ✔ 듀스 규칙: 20:20 동점이 되면 ‘듀스’가 선언돼요. 이때는 2점 차이로 먼저 앞서는 팀이 이깁니다. 예를 들어, 22:20, 23:21 이렇게요. 단, 29:29 동점일 경우 30점을 먼저 얻는 팀이 이기는 ‘캡(cap) 룰’이 적용됩니다.
💡 알아두세요!
듀스 상황에서는 랠리에서 이기는 팀이 계속해서 점수를 얻게 되므로, 점수 차이가 벌어지지 않으면 게임이 길어질 수 있어요. 마지막까지 집중력이 정말 중요하답니다!

성공적인 경기를 위한 필수 관문! ‘서비스 규칙’ 총정리 🚀

서브는 경기의 시작이자, 전략의 출발점이에요. 서브 규칙은 몇 가지만 기억하면 돼요!

  1. 1. 서브 위치: 점수가 0점이나 짝수일 때는 오른쪽 서브 코트에서 서브를 넣어요. 점수가 홀수일 때는 왼쪽 서브 코트에서 서브를 넣습니다.
  2. 2. 셔틀콕 타격 위치: 서브를 할 때, 라켓이 셔틀콕을 치는 순간 라켓 헤드가 손보다 아래에 있어야 하고, 셔틀콕은 허리 아래에 위치해야 해요.
  3. 3. 대각선 서브: 서브는 항상 대각선 방향으로만 넣어야 해요. 내가 오른쪽 코트에서 서브하면 상대방의 오른쪽 코트로 셔틀콕이 넘어가야 합니다.
⚠ 주의하세요!
서브를 넣을 때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거나, 서브 라인(서브를 넣는 코트의 경계선)을 밟으면 ‘폴트(Fault)’로 상대방에게 점수가 넘어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해요!

초보자가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주요 반칙(Fault)’ 피하는 법 ✋

코트 안에서 셔틀콕을 주고받는 랠리 중에도 반칙이 발생할 수 있어요. 대표적인 반칙들을 알아볼까요?

  • 네트 터치: 랠리 중에 선수나 라켓이 네트를 건드리는 경우.
  • 오버 네트: 셔틀콕이 네트를 넘어오기 전에 라켓이 네트 위로 넘어가서 치는 경우.
  • 2회 연속 타격: 한 선수나 한 팀이 셔틀콕을 두 번 이상 연속으로 치는 경우. (단, 라켓의 한 번의 스윙에 셔틀콕이 연속으로 맞는 것은 반칙이 아니에요.)
  • 인터피어런스(Interference): 상대방의 랠리를 방해하는 모든 행위.

코트 규격과 예외 규칙, 복식과 단식의 차이점은? 🎯

배드민턴 코트는 단식과 복식에 따라 사용 범위가 달라져요. 복식 경기는 더 많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포인트!

구분 서브 코트 랠리 코트
단식 복식과 동일하지만, 바깥쪽 서브 라인(Side Line) 사용 가장 바깥쪽 라인까지 모두 사용
복식 안쪽 서브 라인(Side Line)까지만 사용 가장 바깥쪽 라인까지 모두 사용
💡

경기 전 꼭 알아야 할 4가지 규칙!

득점 방식: 랠리에서 이기면 점수를 얻는 랠리 포인트제를 사용해요. 21점을 먼저 얻으면 승리!
서브 규칙: 점수가 짝수면 오른쪽 코트, 홀수면 왼쪽 코트에서 대각선으로 서브해야 해요.
주요 반칙: 랠리 중 네트를 건드리거나, 허리 위에서 서브하는 것은 모두 폴트(Fault)!
복식 코트: 서브를 받을 때는 코트의 가로폭이 단식보다 좁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자주 묻는 질문 ❓

Q: 랠리 중 셔틀콕이 네트에 맞으면 어떻게 되나요?
A: 랠리 중에는 셔틀콕이 네트를 스치고 넘어가도 인(In)으로 인정되어 경기가 계속 진행됩니다. 하지만 서브할 때 셔틀콕이 네트에 걸려 넘지 못하면 ‘폴트’가 됩니다.
Q: 복식 경기에서 서브를 넣는 위치는 언제 바뀌나요?
A: 서브권이 우리 팀에 있고, 우리 팀의 점수가 0점 또는 짝수일 때는 처음 서브를 넣었던 선수가 오른쪽 코트에서 서브합니다. 점수가 홀수일 때는 왼쪽 코트에서 서브를 넣고요. 서브권이 상대팀으로 넘어가면, 상대팀의 점수에 따라 서브 위치가 결정됩니다.

자, 이제 배드민턴 경기의 기본 규칙들을 모두 알아보셨어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이제 경기장에 나가실 때 이 글을 떠올리면서 자신 있게 경기를 즐겨보세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 물어봐주세요~ 😊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