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링장 갈 때마다 항상 궁금했던 게 있어요. “내가 스트라이크를 쳤는데, 왜 점수가 뿅! 하고 안 뜨고 기다려야 하는 거지?” 뭐랄까, 뭔가 숨겨진 규칙이 있을 것 같은데 도대체 뭘까 싶었죠. 솔직히 저도 처음에는 그냥 핀 개수만 세서 점수 계산하는 줄 알았다니까요. 😂 하지만 볼링 점수판에는 ‘보너스 점수’라는 아주 중요한 비밀이 숨겨져 있답니다. 이 비밀을 알게 되면 볼링이 훨씬 더 재밌어질 거예요. 오늘은 복잡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간단한 볼링 점수 용어와 규칙을 정리해 드릴게요. 함께 볼링 박사로 거듭나 볼까요? 🎳
볼링 점수의 기본: 프레임과 투구 📝
볼링 경기는 총 10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각 프레임에는 공을 던질 수 있는 두 번의 기회가 주어지죠. 첫 투구에서 핀을 다 못 쓰러뜨리면, 두 번째 투구로 남은 핀을 처리할 수 있답니다. 이렇게 두 번의 투구 후에도 핀이 남아있다면, 그 프레임은 ‘오픈 프레임(Open Frame)’이 됩니다.
오픈 프레임은 가장 단순해요. 두 번의 투구로 쓰러뜨린 핀의 총합이 그대로 점수가 된답니다. 예를 들어 첫 투구에 6개, 두 번째에 2개를 쓰러뜨렸다면, 그 프레임의 점수는 8점이 되는 거죠.

가장 짜릿한 보너스, 스트라이크(Strike) ⚡
한 번의 투구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뜨리면 ‘스트라이크(Strike)’라고 합니다. 점수판에는 ‘X’로 표시되죠. 스트라이크의 핵심은 바로 보너스 점수! 다음 프레임의 두 번 투구 점수를 추가로 받게 됩니다.
스트라이크 점수 계산법 🔢
스트라이크 점수 = 10점 + 다음 2번의 투구 점수
예시를 들어볼까요?
- 1프레임: 스트라이크(X)
- 2프레임: 첫 투구 7개, 두 번째 투구 2개를 쓰러뜨렸다면?
1프레임의 점수는 10(스트라이크) + 7 + 2 = 총 19점이 됩니다. 그래서 스트라이크를 치면 다음 투구 점수가 나올 때까지 점수가 비어있는 거예요.
스트라이크를 연속으로 치면 ‘더블’, ‘터키’라고 부르는데, 점수가 폭발적으로 올라간답니다! 12번 연속 스트라이크를 치면 300점 만점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기회, 스페어(Spare) ✨
첫 투구에서 핀을 모두 쓰러뜨리지 못했지만, 두 번째 투구에서 남은 핀을 모두 처리했을 때 ‘스페어(Spare)’라고 합니다. 점수판에는 ‘/’로 표시되죠. 스페어 역시 보너스 점수가 있어요. 다음 투구 한 번의 점수를 추가로 받는답니다.
구분 | 점수 계산법 |
---|---|
스트라이크(X) | 10 + 다음 2번의 투구 점수 |
스페어(/) | 10 + 다음 1번의 투구 점수 |

10프레임에서는 특별한 규칙이 적용돼요. 마지막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나 스페어를 치면 각각 2번, 1번의 ‘보너스 투구’ 기회가 추가로 주어집니다!
볼링 점수 계산 핵심 요약 📝
이제 볼링 점수 계산의 핵심을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이것만 기억해도 친구들 앞에서 볼링 좀 아는 사람처럼 보일 수 있을 거예요. 😉
주요 볼링 용어 정리 🎯
- 스플릿(Split): 첫 투구 후 핀들이 멀리 떨어져 남아 있어 두 번째 투구로 모두 처리하기 어려운 배치 상태.
- 거터(Gutter): 공이 레인 양옆의 홈에 빠지는 경우. 이 경우 0점 처리됩니다.
- 터키(Turkey): 연속으로 스트라이크를 3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때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다음 볼링 게임에서는 그냥 점수판만 보지 말고, 스트라이크와 스페어가 어떤 점수를 가져오는지 직접 계산해보세요. 게임이 훨씬 더 재밌게 느껴질 거예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
